회계감사란 무엇인가? (What audit is?)
- 공인회계사가 실시하는 기업의 회계 정보에 대한 감사 행위
- 특정 경제실체의 경제적 행위와 사건(economic actions and events)에 대한 주장과 미리 설정된 기준과의 일치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(ascertain the degree of correspondence) 이들 주장에 관한 증거를 객관적으로 수집하고 평가하여 그 결과를 이해관계가 있는 이용자에게 전달(communicate the results to interested users)하는 체계적인 과정 (systematic process)
감사인이 무엇을 제공하는가? (What audit provides?)
- 합리적인 보증을 제공함(reasonable assurance) --> 중대한 오류를 방지(free from material misstatement)
- 감사의견 = 적정의견(Unqualified opinion) / 한정의견(Qualified opinion) / 부적정의견(Adverse opinion) / 의견거절(Disclaimer of opinion)
* 적정의견을 받았다고 건실한 회사는 아님
* 2회계연도 연속 한정의견 시 상장폐지 기준이 됨
* 부적정의견 시 상장폐지 기준이 됨
* 의견거절은 의견 표명이 불가능한 경우를 의미
왜 감사가 필요할까? (Why audit is demanded?)
1. 대리인 이론 (Agency theory)
2. 정보가설 (Information hypothesis)
3. 보험가설 (Insurance hypothesis)
4. 규제 (Regulation)
- 대리인 이론 : 정보비대칭성(Information asymmetry)에 의한 문제
- 정보가설 : 회계감사 --> 회계정보의 질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평가하여 의견표명(improve the quality of information) = 투자자의 의사결정을 도움(demand quality information)
- 보험가설 : 감사인이 기업의 회계정보에 대한 감사의견을 표명 --> 동시에 법적책임을(litigation) 부담하므로 이용자들에게 일종의 보험역할을 함
- 규제 : 상장회사(listed company), 자산규모가 큰 비상장사, 공기업(state-owned company), 정부(government), 비영리단체(nonprofit organization) 등
감사인의 독립성 (Auditor independence)
- 의뢰인와 이해관계를 공유X (non-audit services) - 재무적, 사업적 이해관계로 인해 공인회계사 자신의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방지해야 함 ex) 한 회사의 감사 + 기장업무를 동시에 할 수 없음
- 회계사의 로테이션 : 한 회사를 오랜 시간동안 담당할 경우 생기는 교류를 방지 (audit partner rotation)
- 클라이언트를 위해 일해야 함 (auditor working for the client) => 주주(shareholders)
내부통제제도 (Internal Control System)
- 효과적인 업무운영, 신뢰성 있는 재무보고 체제의 유지, 기업의 건전성 유지를 위한 내부통제과정
댓글 영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