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재고자산의 측정, 공시, 정의

회계(Accounting)

by 헨리k 2024. 1. 29. 20:16

본문

728x90

 

1. 재고자산 (상품, 소모품, 원재료, 제품 등) 정의

 = 통상적인 영업활동에서 판매를 위해 보유/생산 중인 자산

 = 생산이나 용역제공에 사용될 원재료나 소모품

(외부에서 매입 후 재판매를 위해 보유하고 있는 상품, 토지 등을 포함)

 

 

ex) 원재료 중 일부가 회사가 아닌 보세구역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원재료로 인식해야 하는가?

   - O, 회사가 해당 자산을 통제하고 있으므로 재고자산의 정의에 부합함.

 

 

 - 원재료, 재공품, 제품 등으로 기업 내부(관리회계)에서는 중요

 

 

2. 재고자산의 측정 = Min(취득원가, 순실현가능가치)

 ㄴ 취득원가 : 매입/전환원가 및 재고자산을 현재의 상태에 이르게 하는 데 발생한 든 원가를 포함한 금액 

     ㄴ 매입원가 = 매입가격 + 수입관세 + 제세금 + 매입운임 + 하역료 + 기타원가 - 매입할인 - 리베이트

     ㄴ 전환원가 = 직접노무원가, 고정/변동 제조간접원가 (DL+OH, 가공원가)

 

*제세금 = 모든 종류의 세금을 의미

*매입운임 = 상품을 매입 장소로 운송하는 데 발생하는 비

*하역료 = 하역 시 지불되는 요금

*기타원가  = 현재의 장소에 현재의 상태에 이르게 하는 데 발생한 범위내에서만 취득원가에 포함

*매입할인 = 외상매입금을 약정기일 전에 지급하면 받는 할인

*리베이트 = 한번 지불된 상품이나 용역의 대가의 일부를 다시 그 지불자에게 되돌려주는 행위나 금액

 

 ㄴ 순실현가능가치 : 예상 판매가격 - 추가 완성원가 - 판매비용

     ㄴ 영업 중에 재고자산을 판매할 경우 기대되는 순매각금액 

     ㄴ 추정한 금액이기에 가장 신뢰성 있는 근거(보유목적 등)에 바탕하여 결정해야 함 (주기적 재평가 필요)

 

 

<저가법>    

 - IF 제품의 원가가 순실현가능가치를 초과?

   ㄴ 재고자산을 취득원가 이하의 순실현가능가치로 감액하는 방식인 저가법을 항목별로 적용

   ㄴ 감액이나 감모가 발생 시 그 기간에 비용으로 인식하고 순실현가능가치가 상승 시 환입 인식

 

 : 물리적으로 손상된 경우

 :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진부화 된 경우

 : 판매가격이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하락한 경우

 : 완성하거나 판매하는 데 필요한 원가가 상승한 경우

 

 

 

 

 

3. 재고자산의 공시

 1) 재고자산 단위원가 결정법 (적용된 회계정책)

 2) 총 장부금액과 분류별 장부금액

 3) 공정가치 - 처분부대원가의 재고자산 장부금액

 4) 당기에 비용으로 인식한 재고자산 금액

 5) 재고자산 평가손실/평가손실환입액 (초래한 상황이나 사건)

 6) 담보로 제공된 재고자산이 있을 경우 그 장부금액

 

 

 * 국내 상장사들의 재고자산 공시 내역

 

- 현대자동차

전자공시시스템 - 현대자동차

 

 

- 삼성전자

전자공시시스템 - 삼성전자 분기보고서

 

 

- 농심

전자공시시스템 - 농심 분기보고서

 

전자공시 시스템에서 확인한 결과 세 회사 모두 비슷한 유형으로 작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. 

728x90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