생태계(ecosystem) 정의
: 생물이 살아가는 세계 (eco + system)
- 비생물적 요소 + 생물적 요소
비생물적 요소 : 무기물(탄소, 산소 등), 유기물(탄수화물, 단백질 등), 각종 기후조건(공기, 온도 등)) 등
생물적 요소 : 생산자(광합성 식물), 소비자(생산자를 먹이로 하는 생물), 분해자(세균, 곰팡이 등 미생물)
: 구성 요소(대기, 물, 토양) 간 평형관계 유지하며 끊임없이 물질순환을 함
평형관계(항상성)에 문제가 생기면 기후변화 발생
생태계(ecosystem) 특징
: 에너지의 순환과 물질 순환
- 에너지의 순환 : 태양에너지 --> 식물 --> 화학에너지
- 태양으로부터 에너지는 단파장과 장파장이 섞여서 온다 --> 지구 대기권을 통과하여 지상에 도달하면 일부는 반사되고 식물에 의해서 흡수가 되기도 한다.(개방계 : open system) <-> (물질은 지구 안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---> 폐쇄계 : closed system)
* 온실효과(green house effect)
- 토양에 닿은 태양광은 일부는 흡수, 일부는 반사 하는데 단파장이었던 것이 장파장으로 바뀌게 되는데 이 경우 에너지가 빠져나가지 못해 이산화탄소(CO2)가 이 에너지를 흡수하여 온도가 올라가는 효과
탄소(C)
: 생물체의 가장 기본적인 원소
질소(N)
: 공기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기체로 약 78%를 차지함 (산소는 약 21%)
: 대기 중 질소가스가 구름안에도 포함되어 있는데 비가 내리면 질소가스가 흙 속으로 유입됨 --> 박테리아가 땅속의 질소를 탈질소화하여 공기중으로 빠져나감 등 여러가지 매커니즘을 통해 순환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음
인(P)
: 세포 구성의 중요 요소이며 비료의 중요 성분
산소의 순환
: 산소는 토양, 생물안에 그리고 공기 중에 존재하지만 토양에 약 99.5%가 존재 --> 광합성 작용을 통해서 산소가 대기중으로 이동 & 공기중의 산소가 해양 안으로 들어가기도 함 & 풍화작용(Weathering)에 의하여 토양과 암반으로 이동하기도 함.
물의 순환
: 1. 바닷물의 증발 --> H2O가 대기중으로 올라가서 구름을 형성 --> (2. 나무들이 광합성 작용을 통해서 나온 H2O가 대기중으로 올라가기도 함 / 증산) --> 비가 내려서 땅으로 내려옴
광합성
: 태양빛이 식물의 잎사귀 부분에 도달하게 되면 태양의 빛 에너지와 공기중의 CO2를 받아 합성하여 당이 만들어짐
일부는 물과 산소로 나감
∴ 공기중의 co2는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통해 산소로 나오는 좋은 효과를 이끌어냄
* 식물은 왜 녹색일까?
태양으로부터 들어온 빛 에너지는 여러가지 색(빨~보)으로 분배 --> 일부는 반사, 일부는 흡수, 투과가 되는데 반사되는 영역이 초록색 부분이기 때문에 우리 눈에 녹색으로 보이는 것
(빨,주,노 - 장파장 : 흡수 / 파, 남, 보 - 단파장 : 투과)
생태계의 주요 특징
: 항상성, 지속성 - 생태계의 조절 기능 (먹이사슬)
: 상호의존성 - 상호 기능 연계
: 복잡성 - 복잡한 상호 관계
: 적응성 - 생존에 유리한 방향으로 적응
: 균형 - 지속성
: 생태계 서비스 - 공급(음식, 물 - supply), 조절(기후, 질병 - control), 문화(교육, 여가 - culture), 지원(영양 순환 - support)
생물종
- 특정한 지역에 살아가는 생물 종의 수와 변이 (그 지역의 생태계를 대변하기도 함)
- 지역적으로 열대우림에서 전체 생물종의 약 90%가 서식
- 사람의 개입(포획, 도시화, 토지이용 면적의 증대, 개발 등)으로 멸종 속도가 빨라지고 있음
- 생물종은 약 200만종이 존재하는데 동물 군이 약 75%정도 그 중 척추동물이 3.9%(52.000종)
- 하루 140종 생물종이 멸종하고 있음
- 생태계 파괴(급격한 기후변화)에 따라서 생물종의 대멸종 可
보전방안
- 법규 및 제도를 보완, 저영향개발(LID), 환경영향평가제도의 활용 등으로 보전하려는 방안 必
- 사육하여 번식시키고 방사, 근린공원 확충, 녹지확보, 자연훼손행위에 대하여 규제 및 감시 기능 강화 必
- 시민의식 향상 및 교육, 국제적 협력(CBO, CITES, The Ramsar Conservation on Wetlands) 必
재생가능 에너지 vs 재생불가능 에너지 - 1편 (0) | 2022.04.17 |
---|---|
지구의 심각한 기후변화, 지구온난화 - 2 (0) | 2022.04.12 |
지구의 심각한 기후변화, 지구온난화 - 1 (0) | 2022.04.04 |
지구 환경, 대체 얼마나 위기인 것일까? (0) | 2022.03.28 |
인간과 환경의 정의 (0) | 2022.03.22 |
댓글 영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