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인간과 환경의 정의

환경

by 헨리k 2022. 3. 22. 01:35

본문

728x90

오늘은 생태계 안에서 인간의 역할이 극대화됐고 인간의 영향이 환경의 균형을 깨트리고 있기 때문에

인간과 환경의 관계를 알아보겠습니다.

  • 환경의 정의
  • 환경의 특성
  • 환경문제의 원인

1. 환경의 정의

 

 - 환경은 인간에 영향을 주고 인간의 활동은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 연결된 시스템

 - Human Ecology - Gerald G.Marten : 인간의 환경과 생태계서비스는 어떤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가? / 인간중심적 생각과 환경윤리를 후순위로 생각하는 것

 

 - 환경은 굉장히 포괄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인간을 둘러싼 생물과 비생물적 요소를 의미하고 주변환경부터 지구까지 지칭하기도 함

 

 - 사람이 자연요소들을 어떻게 사용하는가?

자연은 사람에게 여러 원천을 공급 - 재생할 수 없는 (화석연료나 광물 등)것과 재생가능한 것(숲) 인간을 그것을 활용해서 개발하고 지속가능하게 살아가려고 함 - 상호 윤리적인 관계가 균형을 맞추면 지속가능하게 살아갈 수 있지만 균형이 깨지거나 과도해지면 상호 작용이 지속이 불가능해진다. 

 

 - IPAT : 지표나 지수로 활용되는데 이 지수가 높을수록 인간이 자연원천을 사용하려는 욕구가 큰 것

         : 지구환경에 요구하는 강도 = 인구(population) x 사용욕구(level of consumption) x 기술발달정도(technology)

         : I = PxA(Affluence and comsumption characteristics)xT 

 

 - 자연환경 / 만들어진 환경(Built Environment) / 인간환경 (Social Environment)

 

자연환경(Natural Environment) : 생물과 무생물을 아우르는 것으로 일반적인 환경은 자연환경을 의미하고 대한민국 환경정책기본법에서는 환경을 자연환경과 생활환경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함

 

 - 환경의 분류 

 = [환경정책기본법] : 자연환경(생물환경 비생물환경 / 지하, 지표의 생물과 이를 둘러싼 환경인 생태계 및 자연경관) vs 생활환경(대기, 물, 폐기물, 소음, 진동, 악취 등 / 사람의 일상생활과 관계되는 환경) 

 = [유엔환경계획 UNEP] : 자연환경(대기, 토양, 물 등) vs 인간환경(Built + Social environment)(인구, 주거, 건강, 산업, 평화와 안전 등) 

 

환경정책기본법에서 초기에는 2개로 분류하다가 이제 사회경제환경(사람의 사회 및 경제활동과 관계된 요소인 인구, 주거, 산업, 교통, 교육, 문화 등)도 포괄하여 환경을 이야기 하고 있음

 

 

 

 

2. 환경의 특성

 - 시차성 / 자정능력 / 상호관련성 / 광역성

 

* 상호관련성 

요소와 변수가 매우 복잡하다 / 물리-화학-생물학적 반응이 일어남 

공장과 주거환경에서의 연기 - 대기로 올라가서 대기 중의 구름에 포집돼 비가내림 - 올라가다가 다시 지상으로 내려와서 주거환경들을 오염시킴 (가스 속의 유해물질이 다시 지상으로 내려온다는 것) - 많은 하천의 수속 생물들을 오염시키며 악순환이 이어짐

 

* 광역성

국지성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광역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 (지역적 -> 전국가적 -> 국제적)

[ex) 대기오염, 황사, 산성비, 방사능오염 등]

 

* 시차성

환경문제는 시간을 두고 나타난다는 특성 / 문제 발생 후 통제까지의 시간이 소요된다.

 

미국 러브커낼 사건 1940년대 -> 1970년대 이후에 기형아 / 백혈병 등 문제가 발생

일본 미나마타병     1940년대 -> 1970년대 수은방출로 30년이 지난 후 증추신경장애인들이 발생

일본 이타이이타이병 1910년대 -> 1960년대 카드뮴방출로 질병들이 많이 발생

 

* 자정능력

어느정도 안에서는 회복 가능함 but 어느 정도를 넘어간다면 원상회복이 불가능함 --> 비가역성

ex) 구제역 가축의 매립으로 인한 지하수의 오염

 

3. 환경문제의 원인

 - 인구의 급증

인구의 급증(2021년 약 80억)이 환경문제를 악화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 됨 / 공동체에 대한 책임의식 부족, 이기심

J자형 인구증가 추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주로 개발도상국의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음

 

 - 대량생산-소비 체제

산업혁명과 함께 150년 정도의 폭발적인 발달로 인하여 환경문제가 대두된 것

자동화로 인한 소비재가 풍요로워졌지만 지구환경은 망가져가고 있음

일회용품의 사용

 

 - 인간우위사상 / 공동체에 대한 책임의식 부족

자연자원은 무한이라고 생각 / 자연정복과 인간우위사상이 내재돼있는 점

지구의 에너지를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생태계 안의 균형을 포획 등을 통해 균형이 깨지는 현상

현재와 가까운 미래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어 인류의 장래와 지구환경 문제에 대한 배려는 부족한 상황

무임승차 / 공유물의 비극 (인간의 이기심을 표현 / 공동체가 사용해야 할 자원은 사적 이익을 주장하는 시장의 기능에 맡기면 남용하여 자원이 고갈될 위험이 있음 - ex: 중국의 오염가스 배출)

 

 - 공장형 축산

 - 구제역 (Foot-and-Mouth Disease]

사람들의 환경변화로 인해 만들어진 역병으로 동물들이 영향을 받아 생처분당함

 

 

 

 

- 환경문제는 돌고돌아 인간에게 다시 영향을 미침

- 중국에서 발생한 코로나 바이러스도 인간에 의해 발생된 환경변화로 발생한 것, 이는 지속가능성을 파괴하고 있음

- 독자적인 것이 아닌 상호연관돼 있기 때문에 이런 환경문제가 인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줌

- 지구온난화, 대기환경변화, 토양오염, 수질오염 등의 문제가 최근 굉장히 심각한 문제까지 와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함

 

 

 

 

 

 

728x90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