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이터 입력 시
① 문자데이터 ---> ex) 홍길동
- 문자데이터는 셀의 왼쪽에 정렬된다.
- 문자데이터는 문자, 공백, 기호 등으로 구성
- if) 문자+숫자 시 문자데이터로 취급함
② 숫자데이터 ---> ex) 257
- 숫자데이터는 셀의 오른쪽에 정렬된다.
- 숫자와 지수(E,e) 등의 문자를 포함하여 최대 11자까지 표시 ex) 1532154895412 --> 1.532E+12 : 정수부분을 한자리만 남기고 나머지는 소숫점 이하로 보내는 것임 = 지수를 통해서(지수표기법)
- 지수표기법이란
13579 --> 1.3579*10,000 --> 1.3579*10^4 -->1.3579E+4
0.00015 --> 1.5*10^-4 --> 1.5*E-4
* 숫자와 문자를 섞어서 썼는데 이 경우 계산에 이용되는 문자는 숫자로 취급한다.
& 숫자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기호도 숫자데이터로 본다. ex)(-4+3)x4 --> 숫자데이터임
③ 날짜데이터 ex)2022-03-15 or 2022/03/15
- 날짜데이터도 셀의 오른쪽에 정렬된다.
- '/' or '-' 로 날짜를 입력하면 기본적으로 날짜데이터가 된다.
- 셀에 'Ctrl' + ';' 를 입력하면 현재 날짜가 입력된다.
④ 시간데이터 ex)1:12
- 시간데이터도 셀의 오른쪽에 정렬된다.
- ':'으로 단위를 구분한다.
- 시간데이터일 경우 AM이나 PM이 붙는다.
- Ctrl + Shift + ; 를 주면 현재 시간데이터가 나옴
문제점??
ex) 3/2(분수)로 쓰고 싶은데 엑셀에 작성하면 3월 2일로 인식하게 되는데 분수로 작성하려면 어떻게??
---> 셀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방법을 통해서 변경
실습) 3/2를 입력하면 밑에 그림과 같이 3월 2일로 작성됩니다.
그럼 Ctrl + 1 을 누르시면 위처럼 셀 서식이 나옵니다 이 때 분수에서 한 자릿수 분모를 누르시면 분수로 바뀌는데요
이때 확인을 누르시면 44622나 이상한 숫자가 나오는데 그때 지우시고 다시 3/2를 작성하시면 '1 1/2'처럼 나옵니다
* 홈탭 - 표시형식 --> 변경 or 단축키는 'Ctrl + 1'
엑셀에서 지나치기 쉬운 함수들과 자주 사용하는 함수들 (0) | 2022.05.09 |
---|---|
엑셀 꿀팁 : 인쇄 / 틀 고정 / 수식과 연산자 + "멀티태스킹" (0) | 2022.04.12 |
엑셀에서 유용한 기능들 : 병합 후 가운데 맞춤 / 행높이, 열너비 자동맞춤 / 빠른 실행 도구모음 / 셀 내 줄바꿈 (0) | 2022.03.30 |
엑셀에서 특수한 기호 입력하는 법과 기타 꿀팁 (0) | 2022.03.15 |
댓글 영역